본문 바로가기
전원주택 건축/실내 인테리어

열교환 공기순환장치 (Zehnder, 젠더)

by 쌍쌍바_ 2025. 1. 31.

집을 지을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부분이 환기였습니다.
미세먼지가 많거나 추울 때 창문을 열지 않고도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는 방법이 공기순환장치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1. 열교환 공기순환장치

공기순환장치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밖으로 내보내고,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들이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냉난방된 실내 공기를 그대로 배출하고, 외부 공기 또한 그대로 들여오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이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열교환 공기순환장치는 공기가 교차하는 과정에서 실내 온도의 일부를 외부 공기에 전달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해 줍니다. 예를 들어, 실내가 23도이고 외부 공기가 0도라면, 열교환 과정을 거친 후 21도 정도의 신선한 공기가 실내로 들어옵니다. 보통 2도 정도 차이로 들어오지만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매우 큰 경우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더 데워서 들어오게 할 수도 있습니다.
 
 
 

2. 국산 제품과 독일 제품의 차이

아파트에 살았을 때도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동작이 되는건지 의심스러울 정도였습니다. 보통 한국에서는 흡입구와 배출구가 한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렇게 설치할 경우 공기의 흐름이 흡입구와 배출구 사이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환기가 잘 되지 않습니다. 집 전체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지 않다는 단점도 있고요. 경동나비엔이나 힘펠 등 다양한 국산 업체가 있지만 써보지 않아서 검증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제가 설치한 젠더(Zehnder) 제품은 독일산인데, 이미 오래 전부터 공기순환장치에 대해 연구하고 개발한 기업입니다. 유럽에서 유명한 제품이기 때문에 검증이 된 제품이지만 미세먼지와 단열에 대한 설계가 안되어있는 것이 단점입니다.
 
젠더사 제품을 취급하는 업체와 계약을 하면 설계사가 집 도면을 보고 배출구와 흡입구 배치를 해서 공기의 흐름을 잡고 계산을 합니다. 방과 거실같은 공간에는 배출구만 있고 화장실과 부엌에는 흡입구만 있는데, 공기를 바깥에서 안쪽 중앙으로 흐르게 만드는 방식입니다. 공기의 흐름을 설계하는 것이기 때문에 집의 형태에 따라 공기가 흐르는 방향은 다를거예요.
 
한국은 미세먼지가 안좋을 때가 많기 때문에 젠더 제품을 납품하는 한국 업체에서는 미세먼지 필터박스를 추가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설계사와 엔지니어를 보유하고 있는 업체와 계약하시고 진행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 사용 후기

저는 건축주가 자신의 집에 직접 적용해보고 쓴 후기들을 찾아보았고, 그 중 젠더(Zehnder) 제품을 선택했습니다. 
젠더 제품을 취급하는 업체 중 미세먼지 필터박스를 추가로 설치해주고 관리가 잘 되고 있는 업체를 찾아 계약을 했어요. 집의 구조와 크기에 따라 배관 및 제품이 달라지기 때문에 금액이 다 다릅니다. 저희 집 같은 경우 55평 ComfoAir Q350 기준 1500 ~ 2000만원 정도 했던 것 같아요. 비싸긴 하지만 2년간 사용해보니 쾌적하고 너무 좋습니다. 시간을 돌릴 수 있다고 해도 다시 설치할 것 같아요.
장치와 미세먼지 필터박스의 필터 교체 주기는 6개월로 동일하고, 주변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연간 40~60만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하니 참고하세요.
 

< 독일 Zehnder사 열교환 공기순환장치와 배관 >




4. 설계 시 팁

열교환 공기순환장치에 투자하는 대신 창문 설계를 효율적으로 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창을 열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창을 픽스(Fixed)창으로 설계하는 것입니다.
픽스창은 열리지 않는 창인데, 개폐가 안되기 때문에 프레임이 얇아서 디자인이 이쁘고 개폐형에 비해 25%이상 저렴합니다. 슬라이딩 방식의 개폐형은 픽스창의 2배 정도이고, 프로젝트창(당기거나 앞으로 밀어서 여는 창)은 1.5배 정도의 가격으로 차이가 많이 납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팁을 드리면, 제품의 배관 크기와 단열 여부를 미리 파악해서 건축가에게 전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젠더사 제품을 예로 들면, 배관에는 소음 최소화를 위해 단열이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집 내부에 배관을 넣어야 합니다. 이 사실을 집 단열 시공을 다 끝내고 알았다면 추가 공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배관 크기도 일반 배관보다 커서 천장 위의 배선 공간이 더 필요한 경우 천장을 조금 더 내려서 층고가 낮아지는 공사를 해야하겠죠.
시공할 때 알게 되었더라도 하루 빨리 현장소장과 이야기하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단열 배관이 아니라는 사실을 집 단열 공사를 하다가 알게되어 추가적인 배관공사를 통해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추가 단열 공사 비용이 꽤 들어가긴 했지만..)




다른 후기들도 많이 찾아보시고 현명한 선택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열교환 공기순환장치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실링팬에 대해서도 다룬 글이 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한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전원주택 건축/실내 인테리어] - 인테리어 실링팬 (feat. 팬앤코, 루씨에어, 에어라트론)

인테리어 실링팬 (feat. 팬앤코, 루씨에어, 에어라트론)

저는 에너지와 효율을 매우 중요시 생각하기 때문에 실링팬 4개와 열교환 공기순환장치를 설치했습니다. 두 가지 모두 공기를 순환시켜 냉난방 효율을 극대화시켜 주는 장치인데, 먼저 실링팬

prograts.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