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주택 건축16 주방 계획하기 집을 지을 때 주방이나 붙박이장 같은 가구류는 건축비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로 업체와 계약해야 하는데, 건축사나 시공사에서 같이 작업을 했던 업체들을 추천해 주기도 합니다.저도 업체 세 곳을 추천받았고, 두 곳을 방문 상담했습니다. 이미 건축비 예산에서 3~4천만 원가량이 오버된 상태라 가성비 있는 곳을 알아보려고 했는데, 나머지 한 곳은 기생충에 나왔던 주방으로 유명한 곳이라 가격이 상당해서 패스했어요.이 글에서는 제가 경험한 내용을 토대로 업체 방문 전 알아야 할 것들과 예산 책정 시 참고가 될 만한 것들을 정리해 봤습니다.1. 디자인 설계하기여기서도 핀터레스트를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다양한 이미지들을 검색해서 한눈에 볼 수 있고, 설계자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원하는 바.. 2025. 3. 17. 타일 vs 마루, 어떤 바닥재가 좋을까? 타일은 주로 모던한 스타일로 집을 꾸밀 때 사용하고, 마루는 따뜻한 느낌을 주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한국에서는 주로 강마루로 바닥 공사를 했었는데, 요즘엔 타일을 많이 시공하시는 것 같아요.저는 1층은 포세린 타일, 2층은 광폭 강마루로 시공했는데, 각각의 특징과 선택 이유 등을 정리해 볼게요.1. 타일보통 시공사나 건축사사무소에서 몇 가지 타일을 추천해 주고 그중에서 선택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직접 여러 업체를 방문해 보면 더 다양한 디자인과 합리적인 가격의 타일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장점- 내구성이 뛰어나 긁히거나 찍힘이 거의 없음.- 물과 습기에 강하며, 얼룩이 잘 지워지므로 청소가 편리함.- 열전도율이 높아 난방 효율이 좋음.* 단점- 무거운 물건을 떨어뜨리면 깨질 수 있음.- 미끄.. 2025. 2. 19. 조경 예산 계획하기 집을 지을 때 가장 마지막에 하는 것이 조경입니다. 하지만 공사가 끝나고 조경에 대해 고민한다면, 원하는 조경을 제대로 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집을 지으며 예산을 더 끌어다 썼을 가능성이 높을 테니까요.조경을 어떻게 구성할지에 따라 배수 공사, 담장 시공, 데크 설치 등의 기초 공사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건축 설계 단계부터 고려해야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조경의 범위, 필요한 조경 요소, 조경 업체 선정 기준을 중심으로 조경 예산을 계획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1. 어디까지가 조경일까?조경이라고 하면 단순히 잔디를 깔거나 나무를 심는 것만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조경의 범위는 상당히 넓습니다. 조경 업체마다 조금 다를 수 있지만, 보통 모든 외부 작업을 수행합니다.- 기본 조경.. 2025. 2. 18. 주방 및 욕실 수전 (한스그로헤, 그로헤, 더죤테크=필로토, 아메스) 요즘엔 집을 짓거나 리모델링할 때 주방/세면대 수전이나 샤워기도 많이 고민을 하시는 것 같아요. 디자인도 디자인이지만, 물의 질감이라던가 사용량이 수전에 의해 많이 달라지기도 합니다.1. 한스그로헤 / 그로헤한스그로헤(Hansgrohe) 제품은 독일 제품인데 퀄리티가 매우 좋기로 유명합니다. 물의 수압에 대해 연구를 많이 해서 피부에 닿는 물의 질감이 다르다고 합니다. 호텔에서 샤워기를 한번 써본 적이 있는데, 물줄기가 부드러웠고 자세히 설명은 못하겠지만 좋긴 했어요 :)그로헤(Grohe) 제품도 좋은데 같은 브랜드는 아닙니다. 한스그로헤 창업자의 아들이 설립했다고 하는데, 여기도 수압에 대해 연구를 많이 한다고 합니다.유럽 제품을 직구를 하는 경우 유의하실 점이 있습니다. 스위치 편에서 설명드렸던 것과.. 2025. 2. 13. 건축 설계 준비하기 집을 짓기로 결심했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건축 설계'입니다. 물론 땅을 먼저 매매해야 하지만, 그전에 건축 설계에 대한 기본 지식을 쌓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1. 건폐율, 용적률, 연면적, 감리인건축 설계 시 반드시 알아야 할 부분이라 간략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건폐율은 건축물의 바닥 면적 비율입니다. 땅이 100평이고 건폐율이 40%라면, 건물의 1층 면적은 최대 40평까지 가능합니다.용적률은 건축물의 총 바닥 면적 비율을 뜻합니다. 위의 예에서 용적률이 200%라면, 건물을 위로 더 올려서 최대 80평까지 지을 수 있습니다. 단, 모든 층이 용적률에 포함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지하층이나 다락(높이 1.5m 이하) 등은 제외될 수도 있으니 확인이 필요합니다.연면적은 건축물 바닥 면적의 총합입니.. 2025. 2. 11. 건축 예산 계획하기 건축 예산을 계획할 때, 예산이 넉넉하신 분들이 아니라면 보통 대출을 포함해 얼마까지 쓸 수 있을지를 계산해서 정합니다. 예를 들어, 대출까지 총 5억이 있고 토지를 2억에 샀으면 3억이 건축 예산이 되는 거죠. 저도 토지를 구매하고 남은 돈을 건축 예산으로 잡았습니다. 이 예산의 10% 정도는 예비비로 남겨두어야 예상치 못한 비용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저는 종합건축사사무소와 계약을 했는데 계약서에 포함되지 않은 것들이 꽤 있었습니다. 가구(부엌, 신발장 등)는 따로 해야 한다는 것은 알고 있었는데 구조 설계비, 산재보험/고용보험 등 건축과 관련된 다른 비용도 있었습니다. 시공 중 환기장치 배관으로 인해 추가 단열 시공이 필요하기도 했고요.제가 건축할 때 썼던 비용들을 글로 적어봤는데, '이런 비용들이.. 2025. 2. 7.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